KOR
카탈로그
공식스토어

웹진

네니아 CEO에게 듣는다 _ 왜 우리밀 빵을 생산하려 하는가

2025.04.16

유기농 우리밀 전문 제빵소 

네니아 브레드’ 이야기 (1)




밀이 주식이거나 밀을 이용한 식문화가 발달한 유럽과 북미 등지에서는 수 세기 동안 밀을 중심으로 공동체가 꾸려졌다. 밀의 독특한 특성과 빵 굽는 기술은 지역마다 달랐다. 농부들은 밭에서 생밀 알갱이를 맛보고 단백질 함량을 평가했고, 언제 수확할지를 결정했다고 한다. 역색을 가졌던 빵이 밀 농사의 기계화와 대량화, 제분 방식의 변화와 운송 수단의 발달 등으로 인해 균일한 빵으로 변해갔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쌀이 주식이고 빵을 간식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컸다. 그렇다 보니 빵 본연의 맛보다 팥앙금이나 설탕 등 각종 부재료로 맛을 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최근 들어 빵을 주식처럼 먹는 이들이 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인당 쌀 소비량은 56.4kg, 밀 소비량은 38.9kg이다. 쌀 소비량은 해마다 조금씩 줄고 있고, 밀 소비량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네니아가 밥이 되는 빵을 만들기 위해 나섰다. ‘네니아 브레드는 네니아가 만드는 의 브랜드명이며, 네니아가 제조 시설을 갖추고 직접 상품을 만들고 유통한다.

 

네니아 브레드는 네니아가 직접 수매한 유기농 우리밀로 빵을 만든다. 친환경 우리밀은 관행밀보다 비싸고, 우리밀은 수입밀보다 비싼데도 네니아는 왜 굳이 유기농 우리밀을 원재료로 빵을 만들까. 이미 제과제빵 시장이 포화해 보이는데 뒤늦게 네니아가 제빵 시장에 뛰어드는 이유는 뭘까

 

네니아 문영진 대표는 네니아 브레드는 향후 2년 뒤쯤 한국 최고의 유기농 우리밀 제과 제빵 전문 회사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런 계획을 세운 문영진 대표와 네니아 브레드 제빵소 오진무 소장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전한다. 먼저 문영진 대표와의 인터뷰 내용을 문 대표 직접 화법으로 정리했다.

 

 

 

왜 우리밀 빵을 생산하려 하는가


e1e184550e32b3993fce5e72d4c79edc_1744776746_3956.jpg

   문영진 농업회사법인 네니아 대표



우리밀에 대한 단상

 

황해도 연백 평야 광활한 지역에 황금빛 익어가는 밀이 넘실거리고 있다. 이는 분단 이전에 실재했던 사실이고 일부는 현재 진행형이기도 하다.

 

1983년 정부가 우리밀 수매를 중단하기 전의 밀 생산량은 10여만 톤 내외였는데, 2024년 우리밀 생산량은 35천 톤 남짓하다. 우리밀 재배면적은 1983년에 비해 90%나 감소하였다. 대한민국에서 소비되는 밀 가운데 사료가 아닌 식품에 소비되는 밀의 양은 약 250만 톤, 이 가운데 우리밀사용량은 소비량 기준으로 1% 남짓, 생산량은 1.4% 내외다.

 

최근의 ‘K Culture’(한류 문화)‘K Food’(한국 음식) 열풍은 국경을 아우르며 세계를 석권했다. 2024K푸드 수출이 702천만 달러, 그중 라면 수출 금액이 136천만 달러였다. 이 가운데 우리 농산물로 가공한 진정한 K푸드는 얼마나 되었을까? 라면은 우리밀 사용량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1970년대의 우리나라 인구가 3천만 명 대, 농가 인구가 1,442만 명이었다. 통계청 자료는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인구가 5,132만 명, 농가 인구는 2089천 명이라고 발표했다. 50년 동안 전체 인구는 2천만 명 넘게 늘었고, 농가 인구는 1200만 명 넘게 줄어든 것이다. 게다가 우리밀 농업을 지탱할 정책이 부재했다.

 

기원전 100여 년 전부터 삼국시대를 넘어 수천 년간 이어져 내려온 우리밀의 역사가 단 40여 년 만에 붕괴되었다. OECD 국가 중 그 어느 나라에서 이토록 짧은 기간에 이토록 잔인할 정도로 최소한의 기반이 철저히 붕괴한 사례가 있는가? 농민을 위한 정부, 식량 주권을 스스로 지키려 했던 정부는 해방 이후에 단 한 번이라도 존재한 적이 있었던가.

 

식량은 유행을 타는 것도 시대에 따라 변하는 그 어떤 것도 아니다. 식량 주권은 자국의 국민을 위한 최소한의 기본권이고 국민이 주인인 정부의 최소한의 자주권이다.

 

 

네니아 브레드 설립 배경 _ 눈 내리는 벌판을 걸을 때

 

 

눈 내리는 벌판을 걸을 때라도 어지러이 걷지 말아라

오늘 걸어간 이 발자국은 뒤에 오는 사람들의 이정표가 되리니.

 

서산대사의 한시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를 우리말로 풀어서 써 보았다.

 

유독 농민과 농업에 대해 부재한 정부 정책에 맞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 대안이 되고, 그래도 희망을 이야기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담론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까? 우리가 한국 사회에서 우리밀 분야에서만큼이라도 사업의 전형을 입증하고 뒤따라오는 사람들에게 이정표가 될 수 있을까? 그래서 우리가 제시한 이정표를 따르고 그것을 기어이 넘어서는 수많은 개인과 집단을 기대할 수 있을까? ‘그렇다라고 한다면 우리가 입증된 실체를 통해 농업에 기여하고, 무감한 정부도 식량 주권에 관한 효율적 정책에 관심과 태도를 밝히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고민이 네니아 브레드의 설립 배경이다. 우리가 대안을 만들고, 우리가 이정표가 되고, 그리하여 많은 이들이 동참하여 정부 정책에도 길을 낼 수 있게 해보자는 것이다. 그렇다고 궁극의 목표가 정부 정책은 아니고, ‘우리가 바른 이정표를 만드는 것이다.

 

 

네니아 브레드는 무엇을 꿈꾸는가

 

네니아 브레드가 꿈꾸는 것은 지금까지 네니아가 해왔던 일의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다. 최상의 원료로 최고의 제품을 만들고, 유해 첨가물이 배제된 안전한 먹을거리를 만들고, 우리밀을 생산/제분하고 빵과 과자를 만들고 소비하는, 농민-노동자-소비자의 공정하고 수평적인 가치사슬연대를 만들고, 사업의 치열함을 통해 쇠락한 한국농업의 대안과 이정표를 세우는 것, 영혼이 담긴 빵들 만드는 것이다.



d48b537c5cc75519d00625efb59481bb_1744856111_1572.jpg
네니아 브레드는 유기농 우리밀을 사용해 밥이 되는 빵을 만들고 있다. 갓 지은 밥이 가장 맛있듯이 갓 구운 빵이 가장 맛있는 법, 이러한 빵을 네니아는 파베이크제품을 통해 구현하고 있다.

 

네니아 브레드의 원칙과 지향

최상의 원료로 최고의 제품을!

유해 첨가물이 배제된 안전한 먹을거리를!

(우리밀을 생산/제분하고, 빵과 과자를 만들고, 소비하는) 농민-노동자-소비자의 공정하고 수평적인 가치사슬연대!

사업의 치열함을 통해 쇠락한 한국농업의 대안과 이정표!

영혼이 담긴 빵!

 

 

네니아 브레드는 우리가 지금까지 걸어왔던 것처럼, 바른길을 걸어 농민과 소비자들을 만날 것이다. 지금은 작은 작업장이지만 향후 2년 후 한국 최고의 유기농 우리밀 제과 제빵 전문 회사로 자리매김할 것이다그리하여 마침내 우리가 가는 이 길이 이정표가 되어 한국의 밀 자급률을 높이고, 농업 정책을 바로 세우고, 식품 회사들이 안전한 먹을거리를 만드는 기틀이 되길 바란다. <네니아 브레드 이야기 (2)로 이어집니다>



다른 이야기를 더 보고싶으세요?

네니아의 새로운 이야기